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노령연금 금액, 나이, 신청 방법 등 정확히 알고 가세요

by 생활능력자 2025. 11. 23.

 

60세가 넘으셨거나 곧 다가오시는 분들은 슬슬 연금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실 텐데요. 요즘 워낙 AI로 찍어내어 배포하는 블로그들과 정보들이 많아서 혼동이 있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제가 자세히 알아보고 정리했으니 아래 참고하셔서 금액, 신청 나이 잘 확인하시고, 혹여라도 억울한 일 없도록 잘 챙기시기 바라겠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화면

노령연금? 지급개시 연령?

나이와 소득 조건만 있는 기초연금과 헷갈리시는 분들이 많은데, 노령연금은 국민연금 노령연금으로, 국민연금 가입 10년 이상된 분들에게 평생 매월 지급하는 연금입니다. 혼동 없으시길 바라고요. (다음에 기초연금과 비교하는 포스팅 한번 올려보겠습니다.)

노령연금의 지급은 출생연도별로 지급개시연령 도달 시에 지급을 시작합니다.

 

출생연도별 지급개시 연령

출생연도 지급개시 연령
1953~1956년생 61세
1957~1960년생 62세
1961~1964년생 63세
1965~1968년생 64세
1969년생 이후 65세

 

 

조기노령연금?

노령연금은 조기 신청도 가능한데요. 이를 조기노령연금이라고 부릅니다. 정규 지급개시연령보다 최대 5년 일찍 앞당겨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조기노령연금 신청 가능 연령은 아래 참고하시면 됩니다. 다만, 조기노령연금은 연금액이 감액되어 지급됩니다. 1년 일찍 받을 때마다 6%씩 감액됩니다. 당장 급하신 분들은 어쩔 수 없이 신청하셔야겠지만, 꼭 필요하지 않은 분들은 굳이 연금액을 감액시켜가면서까지 일찍 받아야 하나 싶습니다. 신중하게 생각하시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출생연도별 조기 신청 가능 연령

출생연도 정규 지급연령 조기신청 가능 연령 최대 감액
1953~1956년생 61세 56세부터 30%
1957~1960년생 62세 57세부터 30%
1961~1964년생 63세 58세부터 30%
1965~1968년생 64세 59세부터 30%
1969년생 이후 65세 60세부터 30%

 

조기노령연금 감액율

1년 일찍 받을 때마다 6%씩 감액

조기 수령 기간 감액율 및 실제 수령액 (100만원 기준)

조기 수령 기간 감액율 실제 수령액 (100만원 기준)
1년 일찍 6% 감액 94만원
2년 일찍 12% 감액 88만원
3년 일찍 18% 감액 82만원
4년 일찍 24% 감액 76만원
5년 일찍 (최대) 30% 감액 70만원

※ 한번 감액되면 평생 감액된 금액으로 지급됩니다!

 

 

추가로, 조기노령연금을 받으면서 소득활동을 하는 경우, 추가 감액 또는 지급 정지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부분도 필히 참고하셔서 억울한 일 없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감액되는 지급 정지를 판단하는 기준 소득액은 2025년 기준, 월 평균 소득금액 3,089,062원 입니다. 이를 초과 시에 감액 또는 지급정지 대상입니다.

감액 기준표_월평균 소득감액율

월 평균 소득 감액율
기준액(A) 초과 ~ A×2 이하 연금액의 50% 감액
A×2 초과 ~ A×3 이하 연금액의 75% 감액
A×3 초과 연금 전액 지급 정지

 

노령연금 연기제도?

 

조기노령연금과 반대로, 노령연금을 늦게 받는 제도가 있습니다. '노령연금 연기제도'인데요.  노령연금 수급을 연기하면 좋은 건 가산금이 붙습니다. 지급개시연령 도달일로부터 최대 5년까지, 연금액의 전부 혹은 일부에 대해 지급 연기를 신청할 수 있고, 연기 비율은 50~100% 중 10% 단위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조기노령연금 감액율은 1년마다 6%인데,

연기제도를 통한 연금 증가율은 7.2%입니다. 월로 따지면 0.6%. 

 

노령연금 신청 방법

노령연금 신청하시려면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방문 신청하시거나, 우편 또는 팩스로 신청, 혹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신청하시면 되고, 청구 안내문 수령 받으시는 분들은 온라인 간편 신청도 가능합니다.

 

필요 서류로는 노령연금지급청구서, 신분증 사본, 혼인관계증명서, 본인명의 예금계좌, 도장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노령연금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위에서도 썼지만, 보통 '국민연금 노령연금'이라고 하지 않고 '노령연금'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기초연금 포스팅과, 그리고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비교' 포스팅을 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낍니다. 오류 없는 콘텐츠를 작성하기 위해, 제가 알고 있던 지식 외에 더 추가된 사항이나 변경된 사항이 없는지 꼼꼼히 알아보고 조만간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